목록Framework/SpringBoot (13)
능글맞은 구렁이

Spring Data JPA와 JPA 1. Springboot는 JPA 구현체 중 Hibernate를 이용한다. 2. Hibernate는 ORM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이다. 그리고 단독으로 프로젝트에 적용이 가능하다. 3.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생성시 추가한 Spring Data JPA은 Hibernate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API를 제공한다. ORM과JPA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1.객체 지향 개념을 이용하여 관계형데이터베이스에 적용(보존)하는 기술 즉, 객체지향을 관계형으로 매핑하는 개념 2. 객체지향 구조와 관계형데이터베이스와 구조가 유사하다. 3. 즉, ORM이란 객체지향과 관계형 사이의 변환 기법을 의미한다. 객체지향 관계형데이터베이스 공통점 ..

1. 생성한 프로젝트에서 src > main > resouces > application.prperties server.port=9090 작성 즉, 이 프로젝트에 대한 port번호는 앞으로 9090인것이다. 2.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에러 발생 시, 처치 방법으로는 현재 사용중인 port 강제 종료해야한다. 1) console창에서 Terminal로 간다. ※ console창에 Terminal이 안보일경우 ALT+F12를 눌러준다. 1) netstat -ano => 현재 사용중인 port 리스트 확인 2) taskkill /f /pid [PID번호] => 현재 사용중인 port 강제 종료 예) taskkill /f /pid ..

스프링 부트 스프링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최근에는 기본적으로 사용된다.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생성 Tomcat같은 웹 서버를 내장해서 별도의 웹 서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손쉬운 빌드 구성을 위한 starter 종속성 제공한다. 스프링과 3rd parth(외부)라이브버리 자동 구성(쉽게 잘맞는 버전을 자동으로 구성해준다!!) 메트릭, 상태 확인, 외부 구성 같은 프로덕션 준비 기능 제공 관례에 의한 간결한 설정 스프링 부트 VS 스프링 프레임워크 부트에서는 Embed Tomcat을 사용하기 때문에 따로 Tomcat을 설치하거나 매번 버전을 관리해주어야하는 수고로움을 덜어준다. starter을 통한 dependency 자동화 : spring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