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글맞은 구렁이

ED25519와 RSA의 차이 본문

IT 상식

ED25519와 RSA의 차이

보라색츄르 2023. 12. 7. 23:09

ED25519과 RSA는 모두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중 대표적인 알고리즘이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존재한다.

 

키의 크키

RSA의 키의 크기는 보통 2048비트, 3072비트, 4096비트 등이 사용되는

반면, ED25519에서는 256비트의 키만 사용한다.

따라서, ED25519은 RSA에 비해 더 적은 연산량으로 더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안전성

RSA는 암호화에 사용되는 모듈러 연산이 소수 분해 문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대규모 컴퓨터로도 소인수 분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약점이 있다. 따라서, RSA는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ED25519은 타원곡선 암호화(ECDSA)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RSA에 비해 더 높은 안전성을 보장한다.

 

속도

ED25519은 고속으로 동작하도록 최적화된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RSA보다 빠르게 작동한다.

특히, 고성능 서버와 같이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해야 하는 시스템에서는 ed25519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구현의 용이성

RSA는 구현이 복잡하기 때문에, 구현의 용이성 측면에서는 ED25519이 더 우수하다.

ED25519은 구현이 간단하며, 구현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도 매우 적다.

 

키의 생성

RSA는 매우 큰 소수를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키의 생성에 많은 시간과 계산 비용이 소요된다.

ED25519에서는 키의 생성이 비교적 간단하며,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기능

RSA는 전자 서명 및 공개키로 암호화 기능이 존재한다. 

반면 ED25519는 전자 서명만의 알고리즘이다.

 

결론

종합적으로, ED25519은 안전성, 속도, 구현의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RSA보다 더 우수한 암호화 알고리즘이지만, 키의 크기가 작다는 점에서 보안성 측면에서 일부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ed25519과 RSA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IT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인패턴 - 싱클톤패턴  (0) 2024.01.22
의존성이란?  (0) 2024.01.22
프로토콜 - TCP,IP,TCP/IP,UDP  (1) 2022.10.12
서버 -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2)  (0) 2022.05.30
HOSTS - 파일 위치, 수정  (0) 2022.05.0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