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글맞은 구렁이

서버 -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1) 본문

IT 상식

서버 -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1)

보라색츄르 2022. 5. 9. 00:19

1. PC와의 구성

 

PC와 서버의 차이점

PC  SERVER
 - 1일 가동 시간 : 사용자의 근무시간

 - 신뢰성 : 문제가 있으면 적당히 재시작

 - 확장성 : 1) 교환, 증설시에는 운용을 정지한다.
                 2) 기기에 따라선 증설이 어렵다.

 - 가용성, 내결함성 :  대부분 다중화되어 있지 않다.
 - 1일 가동 시간 : 24시간

 - 신뢰성 : 1) 기본적으로 멈추지 않는다.
                  (why? 대상 업무나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2) 재시작도 가능한 하지 않는다.

 - 확장성 : 1) 운용을 정지하지 않고, 각 유닛을 교환할 수
                     있는 타입도 있다.

                 2) 증설하기 쉽다.

 - 가용성, 내결함성 : 전원, 디스크, 팬 등을 다중화

 

PC와 SERVER의 구성상의 차이

PC SERVER
 - 메인보드 위의 좁은 공간에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이     
    효율적으로 배치 되어있다.
 - 교환이나 증설에 대비해 정연하게 배치되어있다.
 - 서버는 개별 부품의 신뢰성이 높다.
 - 만약의 경우에도 운용을 정지하지 않고 일부 유닛을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등을 탑재한 타입도 있다.

 - 증설하기 쉬운구조로 되어있다.
 - 서버는 원래 부품의 성능이 좋고, 게다가 다중화를 포함한
   고신뢰성과 함께 가능한 운용을 멈추지 않는 구조이므로

   지속해서 이용할 수 있는 높은 가용성도 가지고 있다.
   (즉, 운용을 멈추지 않게 하기위해 PC와는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2. PC와의 성능 차이

 

PC와 SERVER의 요구되는 성능차이

PC SERVER
 - 사용자의 조작이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표시성능이 중요하다

  (표시성능 ?  키보드와 마우스 등의 조작 표시)
 - 다양한 처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중요하다.
 - 입력(Input)을 바탕으로 출력(Output)하며 끊임없이
    I/O를 실행하는 가운데 시스템 전체의 상황,
    부하를 감지하고
나아가 자신의 성능을 발휘
    할 수 있는지 까지 생각한다.

    (즉, SERVER는 표시성능 뿐만 아니라 I/O성능을
     더 중요시한다.)

 

유닛의 성능차이

PC SERVER
 -   메모리   <->    CPU   <->    I/O    <->   디스크  -   메모리   <->    CPU   <->    I/O    <->   디스크
     메모리   <->    CPU   <->    I/O    <->   디스크
즉, 서버는 처리량이 PC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성능과 신뢰성이 더 우수한 CPU, 메모리, 디스크등으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서버의 가격은 PC보다 비싸다 

 

 

3. 서버 OS

서버의 종류

Windows Server Linux Unix
- Windows의 경우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 설정한다.
- Windows server는 서버용 OS이지만
  Windows PC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조작할수 있어 비교적 
  이해하기 쉽다. 
- 오픈소스 OS의 대표이다.
- 역사적 배경에서 Unix 계열과의
   친화성이 높다.
- 커맨드로 설정한다.
- 서버 제조사들이 제공
- 과거의 소프트웨어 자산 활용이나
   장기간 연속 운용에 대응하여 서버
   OS로써 현재에도 강력한 지지를 받
   고 있지만, 일반적인 이용 용도에서는    동등한 기능을 가진 Linux의 이용이
   늘고 있다.

 

4. 서버의 사양

  • 서버의 사양은 PC와 큰 차이는 없으나, 전원이나 다중화 장치는 체크한다.
  • 다중화 장치는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를 가정한 예비 장치와 시스템을 말한다.

 

5. 다양한 형태

 

타워

 - 데스크톱 PC와 같은 직육면체 모양으로 PC를 크게 만든 형태

 - 소형 PC 서버라고해도 PC보다는 크다.

랙 마운트

 - 전용 랙에 한 대씩 설치하는 형태로 확장성과 내장애성이 뛰어나다. 

    랙 안에서 숫자를 늘려 확장할 수 있고, 전용 랙으로 보호되므로 장애에도 강하다.

블레이드, 고밀도

 - 랙 마운트의 파생이다.

 - 주로 대량으로 서버를 이용하는 데이터 센터용 형태이다.

 - 공통부품은 랙 쪽에 두고, 얇게 소형화된 서버를 좁은 공간에 집중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집적률이 매우 높다

 - 블레이드는 랙 마운트가 박형화 또는 소형화된 형태이다.

 - 고밀도는 랙 마운트가 더욱 진화한 형태이다.

 

 

 

6. 서버의 표준, PC서버

 

PC 서버란?

 - PC 서버는 간단히 말하면, PC와 같은 구조로 PC가 대형화된 것 같은 서버를 말한다.(타워형태)

 - IA(Intel Architecture)서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 Intel의 x86이라는 CPU나 그 호환 CPU를 내장한다는 점에서 x86 서버라고도 불린다.

 - CPU는 기본 설계를 CPU 아키텍쳐라고 부른다.

 

PC 서버 외의 서버

 - x86 이외의 대표 격으로 RISC라고하는 아키텍처의 SPARC가 있다.

    (SPARC :Oracle,전 선마이크로시스템즈)

 - 동일한 형태로 IBM의 Power등도 있다.

 - Unix계열용이고 처리 성능은 PC서버보다 우수하다.

 - 또한 통계상 서버라고 할 때는 PC 서버, Unix계열 서버 외에 메인프레임이나 슈퍼컴퓨터도 포함된다.

 

'IT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토콜 - TCP,IP,TCP/IP,UDP  (1) 2022.10.12
서버 -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2)  (0) 2022.05.30
HOSTS - 파일 위치, 수정  (0) 2022.05.09
서버구조 - 서버의 기본  (0) 2022.04.14
REST API  (0) 2021.08.3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