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글맞은 구렁이
서버구조 - 서버의 기본 본문
1. 서버와 시스템의 관계
- 시스템과 서버 : 사회에는 다양한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다. 어떠한 시스템이든 일정한 규모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서버가 있어야 한다.
(시스템의 예 : 온라인 쇼핑의 주문시스템, 은행이나 편의점의 ATM시스템, 티머니등 교통기관의 시스템)
- 서버의 역할 : 시스템은 외관인 하드웨어를 보면, 서버와 산하의 컴퓨터,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기기로 구성되어있다. 서버는 시스템안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는 주역이기도 하다.
2. 서버의 이용형태
- 서버는 시스템에서 사령탑과 같은 존재이다.
- 서버에는 크게 3가지 이용 형태가 있다.
구 분 | 이용형태 | 정 의 | 특 징 | |
1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응하여 처리하는 형태 |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PC 같은 산하 컴퓨터의 요청에 대응해 수동적으로 처리한다. |
기본적인 이용형태 |
서버 한대에 클라이언트는 여러대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공통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일이 많다. (서버용, 클라이언트용으로 나뉘는 경우도있다.) |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수시로 요청을 보낸다. | ||||
대표적인 예 |
1. 파일서버 2. 프린트서버 3. 메일이나 웹서버 4. IoT서버(디바이스가 수시로 데이터를 올리는경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응하는 형태에 속한다.) |
|||
2 | 서버에 능동적으로 처리하는 형태 | -서버가 산하 컴퓨터나 디바이스에 대해 능동적으로 처리한다. -수동적으로 처리하는 형태와 명확한 차이는 서버에서부터 처리를 시작하고 실행한다. |
능동적인 이용형태 |
서버 한대에 클라이언트 여러대 |
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반드시 공통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 ||||
서버 측에서 처리 시점을 정하여 실행한다. | ||||
대표적인 예 |
1. 운용 감시 서버 2. RPA서버(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3. BPMS서버 (비즈니스 프로세스 매니지먼트 시스템) 4. IoT서버(IoT 디바이스를 호출하는 경우) (기업이나 단체의 시스템이나 업무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서버임을 알수 있다.) |
|||
3 | 높은 성능을 활용하는 형태 | 서버 자체가 고성능 하드웨어이므로, 그 특징을 살려 처리한다. 최근 주목받은 기능이다.(예: AI, 빅데이터등) | 높은성능 이용형태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성과 서버 단독에 가까운 구성도 있다. 즉, 클라이언트-서버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능성이 있다. |
서버 측에서 독자적인 처리를 실행한다. | ||||
PC에서는 할 수 없는 높은 성능이 요구된다. | ||||
대표적인 예 |
1. AI 서버 (사람이 했던 각종 판단 분석, 많은 데이터 필요) 2. 빅데이터 서버 (다양한 대량의 데이터, 고속으로 분석, 구조화 데이터와 비구조화 데이터를 조합해서 분석하기도 한다.) |
3. 입출력 VS 집계&분석
1) 입출력을 중요시하는 시스템
- 입력한 데이터에 대해 처리 결과를 신속하게 돌려주는 시스템
- 응답이 중요하므로 순발력을 중시한다.
2) 집계&분석
- 개별적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집계나 분석을 중요시하는 시스템
- 전체 데이터의 입력 상황을 보면서 처리를 진행하기 때문에 지구력이 필요하다.
'IT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토콜 - TCP,IP,TCP/IP,UDP (1) | 2022.10.12 |
---|---|
서버 -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2) (0) | 2022.05.30 |
HOSTS - 파일 위치, 수정 (0) | 2022.05.09 |
서버 -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1) (0) | 2022.05.09 |
REST API (0) | 2021.08.3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