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글맞은 구렁이
JavaScript - CallBack함수 본문
콜백함수란?
콜백함수는 간단하게 다른 함수에 매개변수로 넘겨준 함수를 말한다.
매개변수로 넘겨받은 함수는 일단 넘겨받고, 때가 되면 나중에 호출(called back)한다는 것이 콜백함수의 개념이다.
콜백함수가 왜 필요한가?
자바스크립트는 코드를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그러나, 코드가 다른 행위가 일어난 뒤에 실행되는 경우도 있고 순차적으로 실행되지 않을 때도 있다.
이런 걸 비동기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콜백은 태스크(작업)가 끝나기 전에 함수가 실행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다르게 말하자면 콜백은 그 태스크가 끝난 직후에 실행될 것이다.
콜백은 비동기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해주고 여러 문제와 에러들로부터 안전하게 지켜준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콜백 함수를 만드는 방법은 어떤 함수의 파라미터로써 함수를 넘기고 어떤 행위나 태스크가 완료된 직후에 콜백 함수를 호출하는 것이다.
콜백함수 예제
const words = ['spray', 'limit', 'elite', 'exuberant', 'destruction', 'present'];
step1.
function callback(element){
return element.length > 6
}
newWords = words.filter(callback); //callback함수 호출
console.log(newWords);
step2. 더 간결하게
newWords = words.filter(function (element){
return element.length > 6
});
console.log(newWords);
또는
newWords = words.filter((element) =>return element.length > 6);
console.log(newWords);
step3. 새로운 변수에 값을 넣을때
function myfilter(origin, callback){
var result = [];
for(var i = 0; i<origin.length; i++){
var current = origin[i];
if(callback(current)){
result.push(current)
}
}
return result;
}
newWords = myfilter(words, element => element.length>6);
console.log(newWords);
'JS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 Async & Await (0) | 2023.07.13 |
---|---|
JavaScript - Promise (0) | 2023.07.12 |
JavaScript - 키보드 키코드 값 (0) | 2022.05.11 |
javaScript -모달 (0) | 2022.01.17 |
javaScript_div안에 div추가 (0) | 2021.07.20 |
Comments